Java
-
객체 지향 언어Java 2023. 2. 12. 13:48
학습 목표 class와 객체에 의미를 이해하자. class: 객체의 설계도 객체 : 실제 메모리에 올라간 녀석(프로그램 세상에 존재하게됨) 객체 속성을 정의할 때 : 멤버 변수, main 함수 안에 선언하는 변수는 지역변수라고 한다. 연산자에 의미를 이해하자. 객체 지향 프로그로맹이란? 조립식 프로그래밍이다.객체를 조립하여 전체 프로그램을 만드는것이다. ex) 자전거(프로그램) = 몸체(객체) + 바퀴(객체) + 핸들(객체) 장점 조립식으로 프로그램을 만들면 좋다. 고장이 나도 해당 부분만 수리하면 된다. 또 기능을 추가할 때, 만들어서 끼워 넣으면된다. 여기서 프로그램이 객체의 조합으로 만들어짐을 이해했다. 여기에서 객체는 class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객체와 class는 차이점이 무..
-
반복문 - for,while 조건문 - whitchJava 2023. 2. 12. 11:36
학습 목표 반복문에 대해 이해하자 반복적인 패턴이 보인다면 그 때 for문을 생각해 보자 for문 반복 횟수를 알고 있을때 사용한다. for(초기화식; 조건식; 증감식){ 실행문; } 초기화식 : 반복의 시작 지점 지정 조건식 : 언제까지 반복하는가 증감식 : 얼만큼 증가 혹은 감소하는가 초기화식(시작점)을 시작으로 1씩 증가하거나 감소하면서 조건이 true일때 마다 실행문이 실행된다. 그러다 조건식에 falue가 나오면 실행을 마친다. while문 while(조건식){ 실행문; } 조건에 따라 반복할 때 사용되며 조건식이 true면 계속 실행을 한다. do-while문 while문과 유사하나 조건을 나중에 검사한다. 블록 내부 실행문을 우선 실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반복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do{ ..
-
조건문 - ifJava 2023. 2. 12. 11:13
학습 목표 if 문에 대해 알아보자. 코드의 실행의 흐름을 제어한다고 해서 제어문이라고 한다. if문 단독 if else문 if else문 if else문 > 추가로 else 구문도 추가할 수 있다. 조건문이란?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다른 실행이 이루어 지도록 구현 if문 기본 구조 if (조건식) { 수행문; } 조건식이 참일 때 수행문을 실행하는 기본적인 조건문 if-else문 if (조건식) { 수행문1; } else { 수행문2; } 조건식이 참일때 수행문1을 실행하고 거짓일때 수행문2를 실행하는 조건문 if - else if - else문 if(조건식){ 수행문1; }else if(조건식){ 수행문2; }else if(조건식{ 수행문3; }else{ 수행문4; } if문 뒤에 첫번째 조건식이 나오..
-
항과 연산자Java 2023. 2. 12. 01:51
학습 목표 연산 형태와 특징을 이해 하자. 산술 연산자 Rvalue 쪽 연산을 이해 하자 항 연산에 사용되는 값으로 연산이 되는 대상을 나타낸다. 연산자 항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기호이다. 연산자의 종류 산술 연산자 가장 기본이 되는 연산자 4칙연산( + , - , * , / ) 과 나머지 값을 구하는 %가있다. 대입 연산자 (=), 복합대입 연산자 (+=,-=,*=,/= ....)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하는 이항 연산자 우변의 값을 좌변의 변수에 대입한다. a = 3이라하면 a는 식의 왼쪽(Left)에 있기 때문에 L-value 3은 식의 오른쪽(Right)에 있기 때문에 R-value 연산의 방향이 오른쪽 3에서 a 왼쪽 L-value으로 연산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부호 연산자 단항 연산자이며 음..
-
상수와 형 변환Java 2023. 2. 12. 00:07
학습 목표 상수에 대한 개념 이해 상수와 리터럴에 대한 개념 이해 형 변환에 대한 이해 상수 값을 딱 한 번 할당하며 변경이 불가능한 변수 키워드 final 선언이 붙는다. 변하지 않는 값을 반복하여 사용할 때 의미있는 문자로 인식하기 쉽고 혹, 변하더라도 선언한 부분만 변경하면 되므로 여러부분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수정이 용이하고 변하지 않는 값을 지정해줌으로서 오류를 줄여준다) 위와 같이 final 예약어를 사용해서 값을 넣었는데 값을 바꿀려고 하면 오류가 뜨는것을 볼수있다. 리터럴 소스 코드내에 직접 입력된 값, 변하지 않는 데이터 그 자체 (그전에 배운 String으로 개념을 잡아보면 된다.) 프로그래밍에서 상수를 값을 한번 저장하면 변경할 수 없는 저장공간'으로 정의 하였기 때문에 이와 구분..
-
변수와 자료형 2Java 2023. 2. 11. 22:00
학습 목표 데이터 타입 이해 기본 데이터 타입 이해와 특징 변수의 이름 규칙 1. 대소문자가 구분되며 길이에 제한이 없다. (Name과 name은 서로 다른것으로 간주) 2. 자바에서 사용하는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while,break,for,if) 3.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된다 (top1은 허용하지만,1top은 허용되지 않는다.) 4. 특수문자는 '_' , '$' 만을 허용한다. 변수의 타입은 크게 2가지가 있다. 1. 기본 자료 타입 - 데이터 값을 그대로 저장 논리형 : boolean 문자형 : char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 float, double 2.참조 자료 타입 -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 참조값을 저장 기본형 8가지를 제외한 나머지 타입 Stri..
-
변수와 자료형 1Java 2023. 2. 2. 18:35
학습 목표 data라는 의미를 이해하자 변수란 무엇인가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data란? 사실을 나타내는 수치 컴퓨터는 0과 1로만 데이터를 저장한다. bit : 컴퓨터가 표현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로 2진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크기 컴퓨터가 숫자5를 저장할때 1바이트에 저장한다고 치면 위와 같이 2진수로 101로 데이터에 저장된다.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 단어의 뜻과 같이 저장된 값은 변경될수 있다. 자료형이란? 변수값을 지닐 수 있는 종류를 말한다. 변수에 값을 담기 이전에 정수,실수,문자,문자열 등 어떤값들을 지닐수 있는지 자료형을 미리 정해주어야 한다. 자료형의 종류 정수 자료형(1,2,3,4,5....) byte, short byte는..
-
컴파일 시점 vs 런타임 시점Java 2023. 2. 2. 18:30
학습 목표 .java 파일에 대한 이해 .class 파일에 대한 이해 .javac 명령어 사용 방법 .java 명령어 사용 방법 컴파일 : 프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해 개발자가 소스코드를 작성하고 컴퓨터가 이해할수 있게 변환 되는 과정 런타임 : 컴파일 (컴퓨터가 이해할수 있게 변환) 과정이 끝나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고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이 동작되어지는 때 런타임이라고 부른다.(즉 컴파일과정을 마친 프로그램이 실행했을때를 말한다) 직접 해보면서 이해해보자. 메모장에 코드소스를 작성후 TEST.java으로 파일을 생성 .java 내가 작성한 자바파일 (자바 소스 코드) .javac cmd 에서 경로를 찾아 javac 파일이름.java 를 치면 컴파일 과정을 거친다. .class cmd에서 javac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