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목표
상수에 대한 개념 이해
상수와 리터럴에 대한 개념 이해
형 변환에 대한 이해상수
값을 딱 한 번 할당하며 변경이 불가능한 변수
키워드 final 선언이 붙는다.
변하지 않는 값을 반복하여 사용할 때 의미있는 문자로 인식하기 쉽고
혹, 변하더라도 선언한 부분만 변경하면 되므로 여러부분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수정이 용이하고 변하지 않는 값을 지정해줌으로서 오류를 줄여준다)

위와 같이 final 예약어를 사용해서 값을 넣었는데 값을 바꿀려고 하면 오류가 뜨는것을 볼수있다.
리터럴
소스 코드내에 직접 입력된 값, 변하지 않는 데이터 그 자체
(그전에 배운 String으로 개념을 잡아보면 된다.)
프로그래밍에서 상수를 값을 한번 저장하면 변경할 수 없는 저장공간'으로 정의 하였기 때문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상수를 다른 이름으로 불러야만 해서 상수 대신 리터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리터럴은 단지 우리가 알고 있던 '상수'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형 변환
자동형변환과 강제 형 변환이 있다.
자동 형 변환
int iNum1 = 100; // 자동 형 변환 double dNum1 = iNum1; System.out.println(iNum1); //100 System.out.println(dNum1); //100.0100의 정수가 소수점이 붙어 같은값이지만 100.0이 출력된다.
여기서 바이트 크기가 작은 자료형에서 큰 자료형으로 형 변환이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이루어 지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강제 형 변환
double dNum2 = 1.12315; // 강제 형 변환 int iNum2 = (int) dNum2; System.out.println(dNum2); //1.12315 System.out.println(iNum2); //11.12315에서 1로 소수점이 날라가고 출력된다.
여기서 바이트 크기가 큰 자료형에서 작은 자료형으로 형 변환이 이루어지면 강제적으로 소수점이 날라가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정리
상수는 변경이 불가능한 변수를 의미한다.
리터럴은 소스 코드에 직접 입력된 값이며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한다.
형 변환에는 자동형 변환과 강제형 변환 두가지가 있으며
자동형 변환은 값을 해치지 않고 변하는 반면에 강제형 변환은 값이 날라가게 된다.
이는 바이트 크기에 따라 형 변환을 할때 변환되는 방식이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