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변수와 자료형 1
    Java 2023. 2. 2. 18:35
    학습 목표

    data라는 의미를 이해하자
    변수란 무엇인가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data란?

    사실을 나타내는 수치

    컴퓨터는 0과 1로만 데이터를 저장한다.

    bit : 컴퓨터가 표현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로 2진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크기

     

     

    컴퓨터가 숫자5를 저장할때 1바이트에 저장한다고 치면 위와 같이 2진수로 101로 데이터에 저장된다.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

    단어의 뜻과 같이 저장된 값은 변경될수 있다.

     

    자료형이란?

    변수값을 지닐 수 있는 종류를 말한다.

    변수에 값을 담기 이전에 정수,실수,문자,문자열 등 어떤값들을 지닐수 있는지 자료형을 미리 정해주어야 한다.

     

     

     

    자료형의 종류

     

    정수 자료형(1,2,3,4,5....)

     

    byte, short

    byte는 자바에서만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1byte

    데이터 크기 최소단위는 1byte이고 1byte = 8bit

    short은 2byte를 저장할 수 있는 타입이다.

    byte와 short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int, long

    int는 4byte, long은 8byte

    int의 최대값인 2147483647보다 큰경우 long을 사용한다.

    long을 사용할때는 뒤에 접미사 l,L 대소문자 상관없이 붙여야 한다.

     

    int n1 = 12345;
    long n2 = 1234512345L;

     

     

     

    실수 자료형 (소수점이 있는 실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

     

    float, double

    float은 4byte double은 8byte

    float을 사용할 때에는 뒤에 접미사  f,F 대소문자 상관없이 붙여야 한다.

     

    float n1 = 3.14F;
    double n2 = 3.141592653583846;

     

     

    문자 자료형

     

    char

    char는 사용시 인용 부호(')를 사용해야 한다.

    (자바에서는 모든 문자를 유니코드로 처리하기 때문에 인용부호를 안넣으면 숫자로 출력된다.)

     

    char n1 = 'A';

     

    문자열 자료형

     

    참조형 자료형(기본형 변수와 참조형 변수는 2에서 설명)

     

    String

    String 사용시 따옴표(")을 사용해야 한다.

    String a1 = "Hello Java";

     

     

    논리 자료형

     

    boolean

    참 또는 거짓의 값을 갖는 논리형 데이터 타입

    저장할수 있는 값도 true 또는 false만 가능하다.

    boolean a1 = true;
    boolean a2 = false;

     

    변수값을 변하게 하는 과정

     

    package ch01;
    
    public class Variable {
    	
    	// 중괄호 (블록) 에 범위는 절대적이다 
    	// main 이란 : 프로그램에 시작 점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주석 (컴파일러 무시) 
    		// 변수를 사용하는 방법 
    		int age; // 변수 선언 
    		int count; 
    		
    		age = 1; // 초가화 한다 (값을 넣다) 
    		count = 100; // 구문에 끝은 세미콜론으로 한다.  
    		
    		// 화면에 age라는 변수에 담겨있는 값을 출력해줘 !!! 
    		System.out.println(age);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count); 
    		
    		// 변할 수 있는 수를 의미한다. 
    		
    		age = 500; 
    		count = 300; 
    		
    		System.out.println(age);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count); 
    		
    		// 변수에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하기 myAge; 
    		int myAge = 800; // 변수에 선언과 초기화 
    		System.out.println(myAge);  // sysout < - 코드 힌트 사용해보기 
    		System.out.println(9000);  // ctrl + alt + 화살표 아래 (라인복사) 
    		
    		
    		// Tip 
    		// 변수 사용시 데이터 타입은 크게 2가지만 기억 
    		// 1. 기본 데이터 타입과 
    		// 2. 참조 타입 
    
    	}  // end of main 
    
    } // end of class

     

    정수 자료형 크기 비교

     

    package ch01;
    public class DataType1 {
    // 코드 시작점 main 함수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yte b; //1바이트 크기(8bit)
    short s; //2바이트 크기(16bit)
    int i; //4바이트 크기(32bit)
    long l;
    
    b = 127;
    System.out.println(b);
    b = -128;
    System.out.println(b);
    //데이터 타입 byte는 127 부터 -128 까지 담을 수 있다.
    
    s = 128;
    // s = 200000000; 출력 오류
    System.out.println(s);
    
    i = 2100000000;
    // i = 2200000000; 출력 오류
    System.out.println(i);
    // int는 약 +-21억 까지의 정수를 담을 수 있다.
    
    // L value = R Value 오류
    // 컴퓨터 정수갑에 기본 단위는 int이다.
    l = 2200000000L; // <- 접미사를 붙여 주어야 한다(대소문자 둘다가능)
    System.out.println(l);
    }
    
    }

     

    자료형 예제

     

    package ch01;
    public class DataTypeex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1. 정수 550을 name1 이름으로 변수에 담아보세요.
    int name1 = 550;
    System.out.println(name1);
    //2. 정수 22억을 name2 이름으로 변수에 담아보세요.
    long name2 = 220000000l;
    System.out.println(name2);
    //3. 문자 A를 name3 이름으로 담아보세요.
    char name3 = 'a';
    System.out.println(name3);
    //4. 실수 0.12345678을 float타입으로 name4 이름으로 변수에 담아보세요.
    float name4 = 0.12345678F;
    System.out.println(name4);
    //5. 실수 200.0035을 double 타입으로 name5 이름으로 변수에 담아보세요.
    double name5 = 200.0035;
    System.out.println(name5);
    //6. 논리 자료형 isOk 이름의 변수를 선언해 보세요.
    boolean isOk;
    //7. isOk의 변수의 값을 false로 초기화 해보세요.
    isOk = false;
    System.out.println(isOk);
    //8. isOk의 변수의 값을 true로 변경해보세요.
    isOk = true;
    System.out.println(isOk);
    //9.변수란 무엇인지 서술해보세요.
    //변수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
    //10. 기본 데이터 타입의 종류 8가지를 서술해 보세요.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문자형 - char
    //실수형 - float,double
    //논리형 - boolean

     

     

    정리

    data란
    사실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변수란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값
    변수의 값은 변할 수 있다.


    자료형이란
    변수가 변수값을 지닐수 있는 종류
    자료형은 정수,실수,문자,문자열 등의 종류가 있다.

    정수 자료형 long을 사용할 때에는 접미사 L을 붙여야하며,
    실수 자료형 float을 사용할 때에는 접미나 F를 붙여야한다.

    문자 자료형 char를 사용할때에는 변수값에 작은따옴표를 써야하며,
    문자 자료형 String을 사용할때에는 큰 따옴표를 써야한다.

    숫자를 나타낼때
    정수 byte, short, int, long (담을 수 있는 크기에 따라 구별)
    실수 float, double (담을 수 있는 크기에 따라 구별)

    문자를 나타낼때
    char

    참,거짓을 나타낼때
    boolean (값을 true,false만 줄수있다.)

    여기서 팁!

    단축키
    ctrl + shift + F (코드 정렬 단축키)
    sysout - 출력하는 항목의 힌트 자동완성
    ctrl + alt + 방향키 아래 (복사)
    주석은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수와 형 변환  (0) 2023.02.12
    변수와 자료형 2  (0) 2023.02.11
    컴파일 시점 vs 런타임 시점  (0) 2023.02.02
    이클립스 환경설정(자동완성, 폰트, 테마, 밑줄 없애기)  (0) 2023.02.02
    자바에 대하여 / 설치  (0) 2023.02.02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