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항과 연산자

alarim 2023. 2. 12. 01:51
학습 목표

연산 형태와 특징을 이해 하자.
산술 연산자 Rvalue 쪽 연산을 이해 하자

 

 

 

연산에 사용되는 값으로 연산이 되는 대상을 나타낸다.

 

연산자

항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기호이다.

 

연산자의 종류

 

산술 연산자

가장 기본이 되는 연산자

4칙연산( + , - , * , / ) 과 나머지 값을 구하는 %가있다.

 

대입 연산자 (=), 복합대입 연산자 (+=,-=,*=,/= ....)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하는 이항 연산자

우변의 값을 좌변의 변수에 대입한다.

a = 3이라하면

a는 식의 왼쪽(Left)에 있기 때문에 L-value

3은 식의 오른쪽(Right)에 있기 때문에 R-value

연산의 방향이 오른쪽 3에서 a 왼쪽 L-value으로 연산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부호 연산자

단항 연산자이며 음수와 양수의 부호(+,-) 연산자이다.

		int n1 = 10;
		int n2 = 10;
		// 부호 연산자(+ , -)
		System.out.println(-n1);		//-10
		System.out.println(-n1+n2);		//0
		n1 = -n1;
		System.out.println(n1+n2);		//0

 

증가 감소 연산자( ++, -- )

변수의 값에 1을 더하거나 1을 뺄때 사용된다.

항의 위치에 따라 처음값이 먼저 나오고 적용이 되는지 더하거나 빼고 적용이 되는지 갈림

		int n1 = 10;
		 System.out.println(++n1);     //11
		int a2 = 10;
		System.out.println(a2++); 	//10

위와같이 앞에 연산자를 입력하면 값에 1을 더해 11이 출력되고 뒤에 입력하면

처음값인 10이 나온다.

 

논리 연산자 ( &&, || ) 

연산의 결과가 true,false로 반한된다.

		boolean a = (5>3) && (5>2);
		 System.out.println(a); 			//true 
		 //두항 의 결과가 모두 true일때만 결과가 true
		 boolean b = (5>3) || (5<2);
		 System.out.println(b); 			//true
		 //두항의 결과중 하나만 true이면 true 값이 나온다.

 

논리 부정 연산자 ( ! )

boolean a = true;
		a = !a;
		System.out.println(a);  		//false

위와 같이 true를 !을 사용해 ' true가 아니다 '라고 부정을 해 false가 나온다.

 

조건 연산자 (  조건식 ? true : false;  )

조건식의 결과가 참(true)인 경우와 거짓(false)인 경우에 따라 다른 결과가 수행된다.

int num = (5>3) ? 10:20;
	System.out.println(num); 	//10

5>3의 식은 true이므로 10(true):20(false) 중에 10(true) 값이 출력된다.

 

 

정리

연산자의 종류는
산술 연산자(사칙연산)
대입연산자 ( = ), 복합대입 연산자 ( += , -=  ...)
부호 연산자(음수,양수)
증가 감소 연산자(++,--)
논리 연산자(&&,||)
논리 부정 연산자 ( ! )
조건 연산자 (조건식 ? true값 : falue값;)

각각의 연산자가 어떻게 쓰이는지 이해하자

산술 연산자 R value 쪽 연산은
a = 3이라하면
a는 식의 왼쪽(Left)에 위치 -  L-value
3은 식의 오른쪽(Right)에 위치 -  R-value
연산의 방향이 오른쪽(R-value) 3에서 a 왼쪽(L-value)으로 연산된다.